2024년 1월 6일 작성
언술 형식 - 설명, 논증, 묘사, 서사
언술 형식에는 설명, 논증, 묘사, 서사가 있으며, 설명과 논증은 이해와 논리적인 호소, 묘사와 서사는 감각적·암시적 성향의 언술입니다.
언술 형식
- 수사학(Rhetoric, 修辭學)의 언술 형식(forms of discourse)에는 설명·논증·묘사·서사가 있습니다.
- 이는 “Modern Rhetoric (by Cleanth Brooks, Robert Penn Warren)”에서 정의한 언술 형식입니다.
설명과 논증, 그리고 설득
- 설명(說明)은 비교·대조·실례·분류·정의·분석 등을 통하여 주제를 밝히는 형식입니다.
- 논증(論證)은 증거에 대한 객관적 논리로 사람에게 확인시키는 형식입니다.
- 설득(說得)은 사람들의 태도·감정·정서의 공통적인 바탕에 호소하여, 발화자의 의도를 현실화시키는 형식입니다.
- 설득은 설명과 논증의 사이에 있습니다.
- 설명은 설득이 아닌 이해가 그 목표이며, 설득은 감정적인 호소입니다.
- 논증은 논리적인 호소로 어떤 주장이나 진리를 궁극적으로 자신의 의도대로 현실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
- 논증에 가까이 있는 설득을 독립시킨다면, 다섯 가지의 언술 형식이 되는 셈입니다.
- 일상적인 언술은 대체로 설명에, 신문의 논설은 설득에, 명제를 논리적으로 실증하고자 하는 모든 종류의 언술은 논증에 속합니다.
묘사와 서사
- 묘사(描寫)는 사물이나 현상이 지닌 성질, 인상을 감각적으로 표현하는 형식입니다.
-
서사(敍事)는 사건의 의미있는 시간적 과정을 제시하는 형식입니다.
- 묘사와 서사는 설명·설득·논증의 형식과는 다른 성질을 지닙니다.
- 설명·설득·논증이 이론적 성향의 언술인 데 비해, 묘사와 서사는 감각적·암시적 성향의 언술입니다.
- 시가 묘사를, 소설이 서사를 그 주된 표현 형식으로 차용하고 있는 것도, 이들 언술과 문학 양식의 특성이 깊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.
Reference
- 현대시작법 (도서) - 오규원
- https://m.cafe.daum.net/jaybe/4oMt/141?listURI=%2Fjaybe%2F4oMt
- http://www.artnstudy.com/n_lecture/note/나의_첫_번째_글쓰기_수업_01.pdf
- 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48128